부동산17 경제기반 이론 경제기반이란 어떤 지역의 기반산업이 활성화 되면 비기반 산업도 함께 활성화됨으로써 지역경제의 성장과 발전이 유도된다는 이론이다. 입지계수(기반산업의 판별) 입지계수(LQ)= A지역의 x산업구성비 / 전국의 x산업 구성비 A지역의 x산업의 고용자수(또는 생산액) / A지역의 전체산업의 고용자수(또는 생산액) = 국가전체의 x산업 구성비 / 국가전체의 전체산업의 고용자수(또는 생산액) LQ > 1 : 그 지역은 기반산업이다. LQ= 1: 전국 평균과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다. LQ < 1: 그 지역은 비기반산업이다. 경제기반승수 경제기반승수 = 전체기업의 고용(생산액) 증가 / 기반산업의 고용(생산액) 증가 2021. 3. 17. 주택저당증권의 종류 지분형: 원리금수취권과 주택저당채권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을 투자자에게 모두 매각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이체증권(MPTS: Mortgage Pass-Through Securities)이 있다 채권형: 원리금수취권과 주택저당채권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을 발행기관이 가지면서, 저당대출을 담보로 하여 자신의 부채로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여기는 저당담부채권(MBB :Mortgage - Backed Bond)이 있다. 혼합형: 원리금수취권은 투자자에게 이체되지만, 주택저당채권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은 발행기관이 갖는것으로, 여기에는 지불이체채권(MPTB: Mortgage Pay-Through Bond), 다계층채권(CMO: Collateralized Mortagage Obligations).. 2021. 3. 15. 부동산 투자분석기법(할인현금흐름분석법) 부동산 투자분석기법 할인현금흐름분석법 1. 순현가법(NPV법 Net prsent value methd) 순현가= 현금유입의 현가합 - 현금유출의 현가합 순현가 ≥ 0 - 투자 채택 순현가 2021. 3. 10. 입지 및 공간 구조론 지대결정이론 1. 차액지대설-리카도: 어떤 토지의 지대는 그 토지의 생산성과 한계지의 생산성과의 차이에의해 결정된다. 2. 절대지대설-마르크스: 토지소유자의 요구로 지대가 발생한다. 2. 위치지대설-튀넷: 지대의 결정은 비옥도만이 아니라 소비지나 도시중심지와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. 도시공간구조이론 1. 동심원이론(버제스): 도시는 중심지에서 동심원상으로 확대되어 5개지구로 분화되면서 성장한다는 이론 2.선형이론(호이트): 토지이용은 도심에서 시작되어 점차 교통망을 따라 동질적으로 확장되며, 원을 변형한 모양으로 도시가 성장한다는 이론 3. 다핵심이론(해리스&울만): 도시의 핵은 하나가 아니며 도사가 성장하면 핵의 수가 증가하고 도시는 복수의 핵 주변에서 발달한다는 이론 2021. 3. 2. 이전 1 2 3 4 5 다음